IDE
우선 S-ATA를 알기전에 ATA 장치를 알아야 합니다.
ATA란 Advanced Technology Attachment 의 약자로 CD-ROM 드라이브나 하드디스크 장치등을 IDE 인터페이스에 접속하기 위한 규격을 말합니다.
IDE방식과 S-ATA방식은 데이터의 전달 방식이 다릅니다. IDE방식은 다른 말로 P-
ATA라고도 하는데 병렬(parallel)로 데이터를 전송합니다. 그래서 IDE케이블은 여
러 기닥(80선 40핀이나 40선 40핀)의 선으로 구성이 되어있습니다. IDE 방식의 최
대 데이터 전송 속도는 133MB/s입니다. IDE방식에서는 이러한 속도는 이제 한계
에 이르렀다고 할 수 있습니다. 때문에 등장한 것이 S-ATA방식입니다.
S-ATA는 직렬(serial)로 데이터를 전달 합니다. 케이블 자체도 기존의 IDE케이블
보다 간소화되었고 S-ATA 1의 데이터 전송 속도는 150MB/s로 기존의 IDE방식보다
빠릅니다.(그렇다고 매우 현저하게 빠른 것은 아닙니다.)
( 현재 S-ATA II는 300MB/s의 속도 )
즉 S-ATA 하드디스크와 IDE하 드디스크는 데이터를 전달하는 인터페이스와 전원부
의 형태가 다릅니다.
IDE하드디스크는 기본적으로 장착할 수가 있고 S-ATA하드디스크는 메인보드에서 S-
ATA컨트롤러가 있어야합니다. 즉 메인보드에서 별도로 S-ATA하드디스크를 지원해주면
S-ATA하드디스크를 장착할 수 있습니다.(메인보드가 지원하지 않는 경우 PCI슬롯에 별도
의 S-ATA컨트롤러 카드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.) IDE하드디스크와 S-ATA 하
드디스크는 별도이기 때문에 메인보드가 지원해준다면 혼용하여 장착할 수 있습니다.
SD램과 DDR램은 서로 함께 사용하지 못하는 것과 달리 IDE방식의 하드디스크와 S-ATA
방식의 하드디스크는 함께 사용할 수 있습니다.
S-ATA 1 칩셋과 S-ATA 2 칩셋을 1, 2라고 구분 지은것은 기술차이때문입니다
또, 메인보드나 하드등에 지원여부를 구분하기위해 별도로 붙일필요가 있기도합니다
S-ATA 1 칩셋과 S-ATA 2 칩셋의 가장 큰 차이점이라면, 역시 대역폭입니다.
S-ATA 1 의 대역폭은 150MB/s 이며, S-ATA 2 의 대역폭은 300MB/s 입니다.
여기서 대역폭이란, 초(s)당 보낼 수 있는 데이터의 최대 전송 허가량(MB)인데, 비유해서 말하자면 대역폭은 복도라고 할 수 있으며, 데이터는 사람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.
물론 복도가 넓을수록 지나갈 수 있는 사람들의 수가 많겠지요.
하지만 그렇다고해서 150MB/s , 300MB/s 전송량이 모두 허용된다는 것은 아닙니다.
약간의 대역폭 감소가 일어날 수 있습니다.
AMD는 하이퍼트랜스포트 덕분에 이런 고민이 없었으나, 하이퍼트랜스포트 같은 널널한 대역폭이 없는 인텔의 경우 875 칩셋까지는 IHA의 대역폭을 �지만, 현재는 PCI 익스프레스 버스의 대역폭를 사용하여 이를 해결하고 있습니다.
또한 IDE 방식과는 달리, S-ATA 의 대역폭은 한 채널당 대역폭입니다.
다시말해, S-ATA 2 의 채널(선 꽂는 곳)이 4개가 있다고 한다면, 1채널당 300MB/s 의 대역폭을 가지며 총 1.2GB/s 의 대역폭을 가진다고 할 수는 있습니다.
또 하나는 핫스왑(핫플러깅)의 지원입니다.
몇몇을 제외한 S-ATA 1 칩셋은 핫스왑을 지원하지 않으며, 몇몇을 제외한 대부분의 S-ATA 2 칩셋은 핫스왑을 지원합니다.
여기서 핫스왑(핫플러깅)이란, USB 처럼 시스템이 작동 중인 상태에서 기기를 연결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.
주로 RAID-1,5 등을 사용하는 스토리지 서버 등등에선 절대적으로 필요한 기능이며, 최근엔 하드디스크를 들고다니며 자료를 옮겨다니는 일반 사용자들도 선호하는 기능입니다.
'일 > 컴퓨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10.08.14 외장하드 불량 (0) | 2010.08.14 |
---|---|
[펀글]RS232/422/485 통신 (0) | 2008.05.01 |
ThinkPad T61 에 XP를 설치해야 하는데... (0) | 2008.04.11 |
XP 사용자 Tip/Tech/최적화 (0) | 2007.10.19 |